Post

단축 url 서비스 개발

introduction

  • TMI: 예전에 kakaopay 개발자 채용때 단축 url 제작 과제를 받았다가 떨어진 적이 있다.

    솔직히 탈락이 당연했다.

그때 부끄럽게 구현했던 생각도 나고, 2020년 연말에 갑자기 무료하기도 하고, 사내 시스템으로 제공하면 괜찮다는 생각으로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다.

이 글은, 시스템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 보다는 단축url 구현에 사용했던 알고리즘을 정리하는 의도가 더 크다.

link 에서 실제 구현을 확인할 수 있다.

progress

architecture

사내에 구축 할때는, aws 의 eks 를 이용, ingress-nginx, route53 을 사용해서 도메인을 할당받았고, cert manager 를 이용해서 letsencrypt 의 인증서를 자동으로 갱신하게끔 구성했다.

aws elasticache(redis) 를 db 로 이용했다. redis 가 제공하는 expiry 기능을 사용해서 데이터가 1달 간격으로 사라지게 했다. 또한 redis 는 빠른 key 조회와, 자체 expire 기능이 있고 저장하려는 데이터 value 가 적어서, 가볍게 사용할 의도로는 가장 적합했다.

algorithm

다른 서비스들을 보니, 일단 62 자리([0-9a-zA-Z]) 기반으로 개발하는게 대세였고, 자릿수는 변동이 있었다.

  • 변환과정: 단축하려는 url(:url) -> (hash) -> 단축된 형태로 변경(:urlKey)
  • 저장과정: urlKey 를 redis 의 key 로 하고, value 에 url 을 저장하는 방식

hash 는 간단하게 sha256 을 사용했다.

1
sum := sha256.Sum256([]byte(url))

sha256.Sum256 은 length 32 의 byte slice 를 return 하는데, 1 byte 를 2자리의 16진수로 나타내면 64 자리의 hash 를 얻어낼 수 있다. 이 중 앞의 10자리를 이용해서 62 진법으로 하는 7자리의 숫자로 나타내려고 한다.

1
2
3
4
>>> 16 ** 9  # 10자리의 16진수 맨 앞 자리를 10진수로 변환한값
68719476736
>>> 62 ** 6  # 7자리의 62진수 맨 앞 자리를 62진수로 변환한값
56800235584

16 진법 변환의 10 자리는 맨 앞의 숫자가 0 인 경우에는 혹시나 다음 숫자가 작은 경우에 6자리로 축소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7자리의 62 진법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맨 앞 숫자가 0 인 경우는 다음 자리수부터 10자리의 숫자를 사용하도록 shifting 하는 메커니즘을 적용했다.

1
2
3
if nArr[base] == 0 {
    return "", base, ErrorTryAgain
}

예를들면 https://google.com 의 16진법 변환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2
3
4
5
6
7
sha256.Sum256(32 byte)

[5 4 111 38 200 62 140 136 179 221 171 46 171 99 208 209 98 36 172 30 86 69 53 252 117 205 206 238 71 160 147 141]

sha256.Sum256(converted to length 64 hexa)

[0 5 0 4 6 15 2 6 12 8 3 14 8 12 8 8 11 3 13 13 10 11 2 14 10 11 6 3 13 0 13 1 6 2 2 4 10 12 1 14 5 6 4 5 3 5 15 12 7 5 12 13 12 14 14 14 4 7 10 0 9 3 8 13]

16진수로 표현된 64 자리의 맨 앞자리가 0이고 원래는 우측으로 시프팅 해야겠지만, 예시를 위해 진행해보면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0 자리의 16진수 : [0, 5, 0, 4, 6, 15, 2, 6, 12, 8] 

10진수 변환값: 21549229768

0 * 16 ** 9
+ 5 * 16 ** 8
+ 0 * 16 ** 7 
+ 4 * 16 ** 6
+ ... + 8 * 16 ** 0 = 21549229768

62진수 변환값: 0nwmn44
21549229768 // (62 ** 6) = 0                    # '0' 으로 변경됨
(21549229768 % (62 ** 6)) // (62 ** 5) = 23     # 'n' 으로 변경됨
...
0nwmn44

같은방법으로, 사실 맨 앞자리가 0 이었기 때문에, 우측으로 한칸 시프팅하면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아래와 같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0 자리의 16진수 : [5, 0, 4, 6, 15, 2, 6, 12, 8, 3]

10진수 변환값: 344787676291

5 * 16 ** 9
+ 0 * 16 ** 8
+ 4 * 16 ** 7 
+ 6 * 16 ** 6
+ ... + 3 * 16 ** 0 = 344787676291

62진수 변환값: 64lLX35
344787676291 // (62 ** 6) = 6                    # '6' 으로 변경됨
(344787676291 % (62 ** 6)) // (62 ** 5) = 4      # '4' 으로 변경됨
...
64lLX35

물론 이대로 잘 동작할것이라고 생각은 했지만, 맨 앞자리 0인 경우 시프팅을 해도, 혹시 이전 데이터와 해시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다. 이 경우, 생성된 7자리의 해시가 이미 존재하는지 체크하고, 없는 경우에만 발급을 한다.

정말 말도안되는 확률로, 한칸씩 시프팅하며 최대 64-10 회 반복 가능한데, 이 경우 모두 중복이 되었다고 한다면, 해시 충돌을 피할 수 없고, 에러를 반환하도록 하였다.

handler

본 서비스는 간단한 2개의 API 만 제공한다.

  • redirect: 제공된 단축url 이 가리키는 곳으로 redirect 하는 API
  • generate: 새로운 단축url 을 생성하는 API

처음엔 서비스별로 별도의 스코프를 제공하고, crud 를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생각했었지만, 개발 범위를 단순화했다.

redirect API

입력받은 linkID 값으로 redis 에 등록된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고, 307(Temporary Redirect) 처리 하고 그 주소로 http redirect 를 한다. 없으면 400 bad request 처리 한다.

generate API

위의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입력받은 url 을 7 자리의 단축url 로 변환해서 return 한다. 위에서 설명한것처럼 말도안되는 확률로 54 연속 해시충돌이 일어났다면 실패를 반환한다. 이미 만들었던 경우(결과가 남아있는 경우)에는 이전 결과를 그대로 반환할 것이다. 위의 알고리즘 부분 설명을 보면, 같은 input 에 대해 같은 결과를 보장함을 알 수 있다.

results

위에 기술한 대로 구현을 해서 사내 서비스로 제공을 했고, 이 글을 적는 시점까지는 서비스 하고 있다.

서비스를 좀 더 편하게 제공하고 싶은 마음에 chrome-extension 으로 제공했는데, 관련해서는 이후에 따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url-shortner 생성 화면

url-shortner 생성 화면

  • curl 결과: 307 과 함께 location 에 https://www.google.com 으로 redirect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 GET /fNgvnA6 HTTP/2
> Host: host.sample.abc
> User-Agent: curl/7.64.1
> Accept: */*
>
* Connection state changed (MAX_CONCURRENT_STREAMS == 128)!
< HTTP/2 307
< date: Fri, 19 Mar 2021 10:24:14 GMT
< content-type: text/html; charset=utf-8
< content-length: 59
< location: https://www.google.com/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

Comments powered by Disqus.